자궁근종-자궁선근증 어떤 차이가 있을까?
[김희운 기자] 자궁에 혹이 생겼다고 하면 자궁근종을 가장 먼저 떠올린다. 이와 비슷한 질환으로 ‘자궁선근증’이라는 것이 있는데 자궁근종에 비하면 다소 생소한 병이다.
여성클리닉 경희기린한의원 김택 원장은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은 20%~60%에서 두 질병이 동시에 발병합니다. 자궁근종은 자궁근육에 혹이 생기는 것이고 자궁선근증은 자궁내막이 자궁근육층으로 파고들면서 자궁벽이 두꺼워져 생기는 질환입니다”라고 전했다.
이어 “두 질환을 오진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구분하는 방법은 초음파나 자기공명영상(MRI)기기를 이용해 혹(종양)의 명확한 경계가 보이느냐의 여부이며 보통 경계가 불분명한 것이 자궁선근종입니다. 보다 정확한 진단과 예후판단, 치료계획 설정 및 자궁내막증, 난소암 등 기타 질환의 추가 발견을 위해서는 MRI검사가 효과적입니다”라고 덧붙였다.
자궁선근증은 정상 자궁보다 비대칭적으로 커져 있지만 뚜렷한 혹은 보이지 않는다. 주로 자궁내막조직이 자궁벽을 파고 들어가 스펀지에 물이 스며들듯 자궁 근육층 안에 위치 할 때 생긴다.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은 생리 양이 많은 것이 위험한 증상인데 차이가 있다면 자궁선근증은 생리 2주 전부터 심한 통증이 있거나 생리가 끝나도 통증이 계속된다.
증상만으로 구분해 본다면 증상이 별로 없으면 자궁근종, 생리통만 심각하면 자궁내막증, 생리양이 많으면서 생리통이 있는 경우, 특히 생리 전부터 심한 통증이 시작되는 때에는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과 자궁내막증을 동반한 일이 대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략...
‘자궁근종’은 주로 35세 이상 가임여성 10명 중 4~5명꼴로 발견되는 흔한 질병이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근종이 10cm이상 커지면 복부에 딱딱한 덩어리가 잡히거나, 내막까지 파고들거나 내막안쪽에 생기면 생리가 끝나지 않고 7일 이상 지속됨과 동시에 생리 혈이 과도하게 많아진다. 생리를 전후로 복통이 있거나 하복부 불쾌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중략...
자궁근종은 자궁근육이 비정상적으로 자란 종양으로 악성으로 변할 가능성이 매우 낮고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고 크기가 작거나 위치에 이상 없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자궁나팔관 연결부위를 막는 등 위치가 나쁘면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중략...
비수술적 자궁보존 치료법인 한방치료는 자궁이 위치한 하복부의 따뜻하게 만들어 원활한 혈액순환을 도와 오랫동안 쌓여서 굳어진 어혈과 노폐물을 자연스럽게 풀어 없애줌으로써 자궁난소의 기능 즉, 올바른 임신과 생리를 유도하고 젊음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중략...
한경닷컴 w스타뉴스 기사제보 news@wstarnews.com
원문보러가기
http://wstar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3&c1=03&c2=03&c3=00&nkey=201401171155321&mode=sub_vie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