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나도?… ‘자궁 혹’, 겁먹지 마세요~
[이선영 기자] 최근 건강검진을 받는 사람이 늘면서 자궁에 혹이 발견됐다는 소리를 흔히 듣는다. 이는 일반 여성들뿐 아니라 여성 연예인들 역시 마찬가지. 부인암 검진 기술이 발달하면서 예전 같으면 모르고 지나갔을 작은 자궁근종까지 발견되기 때문이다.
자궁근종이란 자궁의 근육에 생기는 양성 종양으로 35세 이상 여성 2명 중 1명, 가임기 여성의 40~50%가 갖고 있는 흔한 질병이다. 자궁에 혹이 있다고 하면 암을 연상해 놀라는 사람이 많지만 양성으로 확인되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자궁근종과 함께 많은 것이 바로 자궁내막증이다. 자궁내막증이란 자궁 내 막 조직이 어떤 원인에 의해 자궁 바깥 부위인 나팔관이나 난소, 복막 등에 퍼져 자라는 것을 말한다. 난소에 생기는 난소낭종도 흔하다. 이에 날로 관심과 경각심이 커지고 있는 여성에게 많은 자궁질환에 대해 알아본다.
■ 자궁근종
자궁근종은 거의 대부분 별다른 증상이 없고 증상이 있더라도 일상에서 흔히 있을 수 있는 신경과민성 등의 증상과 비슷해 많은 여성들이 모르고 방치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중략...
하지만 경우에 따라 생리가 소량으로 장기화되는 ‘임리부지’나 생리과다, 출혈, 성교 시 통증, 복통, 소변이 잦은 빈뇨나 소변을 참을 수 없는 급박뇨, 변비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출혈이 장기화되면 얼굴색이 칙칙해지고, 기미, 손발톱이 얇아지거나 잘 부러지고 어지럼증, 탈모, 말을 할 때 숨이 차는 증상도 나타난다. ...중략...
경희기린한의원 김택 원장은 “자궁에 생기는 ‘살혹(양성종양)’ 즉, 자궁근종은 대부분 증상 없이 지내다가 다른 검사를 통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자궁근종은 초음파보다는 MRI 촬영을 통해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 좋다”라고 조언했다. ...중략...
수술하지 않고 치료하는 한방치료도 있다. 이는 자궁근종의 합병증인 출혈, 피로, 어지럼증 등 합병증을 직접적으로 치료해주면서 자궁근종과 자궁내막사이의 정상자궁근육을 늘려주고 자궁과 난소의 기능을 보강시켜줌은 물론 어혈을 제거하고 더 이상의 자궁근종이 발생하지 않도록 억제시키며 자궁근종의 크기와 개수를 줄여서 수술의 필요를 줄여준다.
자궁근종으로 인해 생긴 생리통이나 생리불순 등의 증상들을 개선해 자궁이 생리와 임신 등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도록 조절하고 돕는다. 어쩔 수 없이 부분수술이나 자궁적출수술을 받은 후라면 재발방지 및 자궁근종의 합병증과 수술 후유증 치료에도 큰 도움이 된다.
■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은 자궁의 안쪽(내강)을 싸고 있는 막으로 생리와 임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생리는 자궁내막이 부풀었다가 기능층이 떨어져 나가면서 코일동맥에서 출혈이되서 생기는 현상인데, 이 내막 세포가 다른 곳에도 번지면 똑같은 작용으로 출혈과 통증, 유착 등을 일으킨다.
만약 내막세포가 난소에 번져있다면 난소에 출혈을 일으켜 난소 혹을 만들고 나팔관에 퍼지면 나팔관을 막아 불임을 일으킨다. 또 복막에 있다면 복막유착을 일으켜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처럼 자궁 내막조직은 자궁 안에만 있어야 하는데 자궁 이외의 난소나 자궁인대, 장, 복막 등에 존재해 발생하는 질환이 자궁내막증이다.
보통 가임기 여성의 7~10%로 흔하게 나타난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월경과 함께 또는 월경직전에 수반되는 골반통이나 통증이 없는 월경이 지속되다가 월경통이 발생하면 의심되며 성교통, 요통 등도 있고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다.
자궁내막증은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실제로 자궁내막증 환자의 30~50%는 불임을 호소한다. 이는 자궁내막조직이 난관, 난소와 복 막의 여러 군데에 점처럼 퍼져 있어 서로 달라붙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나팔관 운동이 방해를 받거나 유착(달라붙음)을 일으키고 난소기능을 감소시켜 배란장애를 일으킨다. ....중략...
따라서 자궁내막증으로 인한 종양의 크기가 크지 않고, 임신을 해야한다면 한방 자궁내막증치료를 통해 자궁내막증을 치료하는 동시에 임신 유도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 임신을 하게 되면 무월경 상태가 지속되면서 자궁내막증이 자연스럽게 호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방에서는 자궁내막증의 원인을 기운이 막히고, 어혈이 뭉쳐서 생기는 것으로 보고 치료한다. 정상적인 생리 배출을 돕고, ‘화어통부’라고 해서 어혈을 녹여서 분산시키고, 대장의 기순환을 도와서 변비를 치료해주고, 염증과 통증을 치료해주고, 전신적인 합병증도 치료해준다.
배란 이후에는 자궁과 난소를 튼튼히 하고, 신속하게 임신이 되기에 좋은 조건을 만들어준다. 자궁내막증의 덩어리(결절조직)이 큰 경우에는 수술 후에 재발방지 한방치료 프로그램이 하는 것이 좋다.
한경닷컴 w스타뉴스 기사제보 life@wstarnews.com
원문보러가기
http://wstar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3&c1=03&c2=03&c3=00&nkey=201304152034481&mode=sub_vie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