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통, 진통제에 의지? 난소낭종 등 근본적인 치료 필요
[이선영 기자] 핸드백 속에 진통제를 상비약으로 지니고 다니는 여성들이 많다. 생리통이 시작되면 습관처럼 진통제부터 꺼내는 일이 매달 반복되는 것이다.
하지만 생리통을 ‘어김없이 찾아오는 귀찮은 것’ 내지 ‘며칠만 참으면 되는 증상’ 쯤으로 가벼이 넘겨서는 곤란하다. 생리통은 질병으로 인해 생기는 통증으로, 자궁환경이 좋지 않거나 여성건강에 이상이 있음을 알려주는 신호가 되기 때문이다.
경희기린한의원 김택 원장은 “뚜렷한 이유가 없는 원발성 생리통인 경우는 결혼과 출산 후에 다소 완화되기도 하지만 자궁근종, 자궁내막증, 자궁선근종, 난소낭종 등이 원인이라면 질환을 먼저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설명했다.
...중략....
생리통, 난소낭종 등 근본 원인 찾아 치료해야 ...중략...
한방에서는 자궁환경이 좋지 않아져 불필요한 어혈이 형성된다고 본다. 무리한 다이어트나 운동, 스트레스, 찬 음식 섭취 등으로 기운이 정체되어 생리 배출이 곤란해지면 통증이 동반된다. 생리기간 중에 춥거나 습한 환경에 노출되는 것도 통증을 심하게 만든다.
생활습관에는 큰 문제가 없더라도 선천적으로 체질이 허약해서 기운이 부족한 사람이나 출산과 유산 후 충분한 조리를 하지 못한 경우에도 생리통은 심해질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문제인 것은 자궁과 골반 내의 기질적인 병변으로 인해서 생긴 자궁근종이나 난소낭종, 자궁내막증 등도 생리통의 원인이 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진통제가 아닌 자궁건강을 되찾는 일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특히 여성의 난소는 자궁관 양쪽 끝부분에 위치하는 돌기이며, 주기적으로 양쪽에서 번갈아 1개씩 난자를 배출하는 임신과 출산을 위해 꼭 필요한 기관이다. 또한 난소의 건강은 뼈, 관절, 피부, 치아 건강 및 총명한 정신력 유지와 노화방지 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난소에 호르몬 분비가 원활하지 않을 경우 배란에 장애가 생기게 된다. 이 경우 난소에 물혹이 생기면서 점점 커지게 되는데, 이것을 ‘난소낭종’이라고 한다.
난소낭종은 주로 30대~50대 여성들에게 나타나지만 나이에 상관없이 제일 많이 발생하는 종양 중 하나다. 난소의 점막에 주머니 같은 혹이 생기면서 그 속에 분비물이 고여 일으키는 병으로 가임기의 젊은 여성에게는 물혹이라고 불리는 기능성 낭종이 가장 흔하다.
...중략...
종류에 따라 호르몬 생산이 계속돼 무월경을 일으키고 그 후 불규칙한 자궁출혈, 생리통, 갱년기 출혈, 복수, 소변불리, 가슴 답답함 등이 생길 수도 있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경우 무월경과 생리불순을 동반하며 배란이 불가능해지므로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중략...
특히 난소적출을 할 경우 피부노화, 골다공증, 탈모, 심혈관계질환 등 몸의 전반적인 노화가 촉진되며 불임을 초래할 수 있어 결정에 신중해야 한다.
한방치료는 후유증 없이 난소 지켜
딱딱하지 않은 기능성 난소낭종은 한약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기능성 난소낭종과 장액성 난소낭종 초기, 점액성 난소낭종 초기일 경우 한방치료와 재발방지 치료를 병행한다. ...중력...
수술을 꼭 해야만 하는 난소낭종의 경우에는 수술 전 체력보강과 난소낭종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한방치료를 한 후에, 수술 후 재발방지와 후유증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다. 어혈분산, 난소기능강화, 스트레스해소, 면역력강화를 위한 한약치료가 효과적이다. ...중략...
한경닷컴 w스타뉴스 기사제보 life@wstarnews.com
원문보러가기
http://wstar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3&c1=03&c2=03&c3=00&nkey=201304291035061&mode=sub_vie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