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삶 위협하는 자궁근종, 조기발견 및 신속한 치료가 중요!
[이선영 기자] 부인과 질환은 이제 중년 이후의 여성에게만 찾아오는 질병이 아니다. 미혼여성, 심지어 청소년들까지 노출되어 있다. 발생빈도 역시 크게 늘고 있어 여성인구 두 명 중 한 명은 크든 작든 부인과질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날 정도다. ...중략...
경희기린한의원 김택 원장은 “자궁근종은 최근 4년간 21%나 되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주로 40대 이후 중년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지만 날이 갈수록 20대의 젊은 미혼여성이나 학생들에게도 발병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사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자궁근종’은 말 그대로 자궁에 종양이 생긴 질환이다. 이 종양은 암을 가리키는 악성종양과 달리 양성종양이며, 악성으로 변이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정확한 발병원인은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여성호르몬의 작용, 유전 등이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략...
▶ 대부분 별다른 증상 없어
자궁근종은 거의 대부분 별다른 증상이 없고 증상이 있더라도 일상에서 흔히 있을 수 있는 신경과민성 등의 증상과 비슷해 많은 여성들이 모르고 방치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이로 인해 대부분 전혀 눈치 채지 못하고 있다가 너무 늦게 발견돼 심한 자궁 손상으로 자궁을 아예 적출해야 하는 등 위급한 상황까지 가는 경우도 대단히 많다. 실제로 한국은 현재 OECD 국가 중 자궁적출률 1위를 기록, 수술건수도 41%나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특히 아이를 낳고자 하는 가임기 여성에게 자궁근종은 상당히 위협적인 존재다. 자궁근종이 나팔관을 막아서 수정을 방해하거나 자궁내막에서의 수정을 방해해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임신에 성공했다 해도 태반에 자궁근종이 인접해 있으면 조산이나 유산 가능성이 높아지고 분만 시 자궁의 수축력을 감소시켜 난산과 산후 출혈을 유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만약 생리혈이 나오는 패턴에 변화가 있는 경우, 혹은 자궁에 이상을 느끼거나 아랫배를 눌러봐서 단단한 게 집힌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 검사를 해보고 신속한 치료와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 수술 없이 한방으로 치료 가능 ...중략... 치료는 보통 자궁근종만 제거하는 수술과 자궁 자체를 들어내는 자궁적출술을 많이 한다. 단, 자궁근종만 제거하는 수술은 재발률이 높고 자궁적출술은 난소로 가는 혈류의 30%정도를 줄여서, 100세 시대에 조기노화를 초래하여 여성의 평생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므로 수술에 매우 신중해야 한다.
수술하지 않고 치료하는 한방치료도 있다. 이는 자궁근종의 합병증인 출혈을 직접적으로 치료해줌으로써 그동안 소홀히 해왔던 심각한 피로, 어지럼증, 숨참(근종심장), 면색위황(얼굴과 몸이 누렇게 뜸), 기미, 탈모, 조갑건열(손톱과 발톱이 얇아지고 잘 부러짐), 우울증 등의 자궁근종 합병증상을 종합적으로 치료해 준다.
이로써 가정생활, 직장생활, 취미생활, 성생활 곤란 등을 해결하고 자궁근종과 자궁내막사이의 정상자궁근육을 늘려주며 자궁과 난소의 기능을 보강시켜줌은 물론 어혈을 제거하고 더 이상의 자궁근종이 발생하지 않도록 억제시키며 자궁근종의 크기와 개수를 줄여준다.
한경닷컴 w스타뉴스 기사제보 life@wstarnews.com
원문보러가기
http://wstar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3&c1=03&c2=03&c3=00&nkey=201302190913341&mode=sub_vie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