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 여성, 자궁 건강에 빨간불 “자궁근종 환자 절반이 40대 여성”
[이선영 기자] 중년 여성들의 자궁 건강에 ‘빨간불’이 켜졌다.
2011년 자궁근종으로 진료 받은 인원이 28만 명이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궁근종이란 자궁근육에 생기는 ‘살혹’, 즉 양성종양을 말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07년 22만 9324명이던 자궁근종 진료인원이 2011년 28만 5544명이 돼 연평균 5.6% 증가했다고 한다.
연령대별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40대가 13만 6,689명(47.9%)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7만 4,206명(26.0%), 30대 5만 4,256명(19.0%) 순으로 ‘30대~50대’가 전체의 92.9%를 차지했다. 특히 40대 진료비는 612억으로 총 진료비인 1,081억 원의 절반 이상으로 나타났다. ....중략... 자궁근종은 증상이 거의 없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자궁근종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소량의 생리가 오래 나오는 ‘임리부지’증상과 25%의 여성에서 생리통과 월경과다 등이 나타나며 원인모를 피로와 짜증, 골반통, 성교 시 통증, 골반 압박감, 빈뇨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40대에서 자궁근종 진료인원이 많은 이유는 자궁근종이 다른 종기에 비해 형성과정이 비교적 느린 것 때문으로 추정된다. 자궁근종은 호르몬 변화에 다른 2차 성징의 일환으로 생리 현상이 시작되면서부터 작은 덩어리로 시작해 5년, 10년에 걸쳐서 서서히 자란다. ...중략...
이로 인해 대부분 전혀 눈치 채지 못하고 있다가 너무 늦게 발견돼 심한 자궁 손상으로 자궁을 아예 적출해야 하는 등 위급한 상황까지 가게 되는 경우도 많다. 실제로 한국은 현재 OECD 국가 중 자궁적출률 1위를 기록, 수술건수도 41%나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경희기린한의원 김택 원장은 “자궁근종은 방치하면 심한 통증은 물론 불임, 자궁적출수술까지 유발할 수 있어 100세 시대에 노화촉진 등 여성의 평생 건강에 큰 지장을 초래하므로 자궁에 이상을 느낀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 검사를 해보는 게 좋다”라고 말했다. ...중략... 치료는 보통 자궁근종만 제거하는 수술과 자궁 자체를 들어내는 자궁적출술을 많이 한다. 단, 자궁근종만 제거하는 수술은 재발률이 높고 자궁적출술은 조기노화를 초래하여 여성의 평생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므로 수술에 신중해야 한다.
수술하지 않고 치료하는 한방치료도 있다. 이는 자궁근종의 합병증인 출혈, 피로, 어지럼증 등을 종합적으로 치료해주면서, 자궁근종과 자궁내막사이의 정상자궁근육을 늘려주고, 자궁과 난소의 기능을 보강시켜줌은 물론 어혈을 제거하고 더 이상의 자궁근종이 발생하지 않도록 억제시키며, 자궁근종의 크기와 개수를 줄여준다.
자궁근종으로 인해 생긴 생리통이나 생리불순 등의 증상들을 개선해 자궁이 생리와 임신 등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조절하고 돕는다. 어쩔 수 없이 자궁적출수술을 받은 후라면 자궁근종의 합병증과 수술 후유증 치료 및 재발방지에도 큰 도움이 된다.
뿐만 아니라 자궁근종은 치료와 함께 생활개선도 매우 중요한데, 가장 중요한 것이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다. 스트레스는 자궁근종의 크기와 숫자를 늘리고 출혈과 통증을 악화시킨다. 일찍 자는 습관을 들이고 배에 힘이 가는 일이나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중략... 한경닷컴 w스타뉴스 기사제보 life@wstarnews.com
원문보러가기
http://wstar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3&c1=03&c2=03&c3=00&nkey=201301101243171&mode=sub_vie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