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관 시술 실패 한방치료로 임신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어.
우리 주변에는 결혼을 한지 수년을 지났는데도 아기가 없어 괴로워하는 부부들이 심심챦게 볼 수 있습니다. 이름하여 불임부부! 네 탓 내 탓 따지다가 이혼의 파경으로 가는 경우도 있다는데 불임의 원인도 참 다양하다. 원인 비율 분석을 하면 남성측 원인 30%,양쪽원인 10% ,여성원인 50%, 원인불명 10% 정도된다. 여성의 운인은 난소와 나팔관 문제가 70%정도를 차지한다. 전체부부의 불임 비율은 10% 정도 된다. 매년 160만명 정도의 여성이 불임 때문에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는다고 한다. 임신능력의 변화를 살펴보면 최근에 직장생활, 외국유학, 사업 등의 이유로 결혼이 늦어지거나 츌산을 미루는 여성들이 많아지고 있는데 인간의 임신능력이 최상일 때는 24세 전후이며, 그 뒤로 5년마다 임신에 걸리는 기간이 두 배로 길어지고, 특히 35세 이후에는 50%로 임신 출산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진다고 한다. 그 원인은 난소안의 난포가 줄어들거나 난자의 질이 나빠질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있다고 한다. 올드미스들은 특히 신경을 쓸 일이다.
화창한 봄날 아침 40대 여성이 진료실 문을 열고 들어왔다. 6년 전 결혼을 하였는데, 시험관아기시술을 6번이나 했는데도 계속 실패의 연속이란다. 그래서 C 병원을 2년째 다니고 있단다. 비용도 비용이지만 그간의 고생은 요즘말로 안봐도 비디오다. 사정을 들어보니 내막두께는 정상이지만 착상이 안되서 계속 임신실패란다. 갖은 치료와 민간치료까지 다 해봤지만 효과가 없었단다. 기운이 다한 노쇠한 난소를 쥐어짜서 강제로 배란을 6번이나 시키고, 기능이 약한 자궁에 착상을 시도해도 착상이 안되고 계속 미끄러져서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 말을 못해서 그렇지 난소는 죽을 맛이었을 것이다. 시험관 아기 시술이라는 것이 마링 쉽지 그리 호락호락한 과정이 아니다. 임신에 있어서 난자를 만드는 난소가 건강해야 싱싱하고 건강한 난자를 만들 수 있는 것은 두말하면 잔소리다. 그런데 시험관 아기 시술을 하려면 과배란을 목적으로 배란유도제를 사용해서 과량의 호르몬제 주사를 맞고, 난소에 채찍질을 가하고 혹사시키게 되며 일시에 여러 개의 난자를 채취하려고 한다. 그야말로 난소를 쥐어 짜는 것이다. 때문에 난소는 몹시 힘들어하고 지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한번 시술을 하면 3개월 정도 쉬었다 하게 된다. 그런데 이분은 체력과 자궁, 난소를 보강시키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한약을 10일분을 먹고 다행히 바로 임신이 되었다. 그야말로 오랜 가뭄으로 말라서 금이 쩍쩍 간 마른 논바닥에 단비가 온거나 마찬가지리라.
요즈음은 여성들이 사회생활을 많이 하기 때문에 35세를 넘어서 결혼을 하거나 임신을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나팔관의 유착이나 막힌 경우, 자궁내막증, 원인불명의 불임, 정자를 밀어내는 면역학적 불임, 원인불명의 불임, 조기 난소 부전증 등에서 시험관 아기 시술을 많이 시술하고 있다. 남자들도 복잡한 사회생활과 스트레스 등의 영향으로 정자숫자가 현저히 적거나, 활동성이 떨어지거나, 숫자가 매우 적을 경우에도 시험관 아기시술을 하게 된다. 성공률은 30%정도라고 한다. 그런데 시험관 시술을 처음하거나 몇 번 실패하는 경우에 한방치료를 받으면 큰 도움이 된다. 시험관 시술 전에는 한약의 복용을 통하여 난소와 자궁의 기능을 보강시켜준다. 곧 힘든 일을 해야 할 난소가 보약을 미리 먹게 되는 것이다. 요즈음 군대 가기 전에 아들에게 보약을 지어주러 오시는 분들이 가끔 있는데. 마찬가지다. 한약의 복용으로 난소가 덜 힘들어하게 되고 자궁내막의 상태도 호전되어 착상에도 큰 도움이 되며 몸도 전체적으로 건강해지므로 일거 삼득이다.
시험관 아기 시술을 2~3번하고도 임신에 실패하면 경제적으로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부부는 몹시 지치고 낙담하게 된다. 이러한 때에 부부가 3~4개월 한약을 복용하면서 아내는 난소와 자궁을 보강시키면서 체력을 보충하고, 남편은 정자의 숫자와 질을 향상시켜주는 한약을 복용하여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회복이 된다면 다음 시술 때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심지어 위의 케이스처럼 자연임신이 되는 경우도 있다. 한약이 시험관 아기 시술에 큰 도움이 되며 양방 호르몬 치료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기능 보강 쪽으로 생각하면 되겠다. |